雁行有序
기러기의 행렬에는 차례가 있다. 이는 형제간에는 차례가 있다는 뜻이다.
(解釋文)
行, 行列, 大雁飛行時흔有次序, 大者在前, 小者在後, 引申爲兄弟, 長幼有序, 象雁行一楊, 原詩 : " "兩服上襄 , 兩참雁行, "
(語譯)
행은 행렬이다. 기러기가 비행할 때는 모두 차서가 있는데, 큰놈은 앞에, 작은놈은 뒤에서 날아가므로 이를 형제간에 장유유서에 인신혔으니, 기러기으이 비행시 줄과 같은 것이다. 원시에 보면 : 두말이 멍에를 얹고 참마 두마리가 나란히 간다. "라고 했다.
* 형제간에 긴밀한 관계를 비유한 글이다.
(元典) 詩經 . 鄭風 . 大叔干田
*흔(자축거릴척+한정할간):어길 흔
*참(馬+參):세말 멍에할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