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상 차리기 차례상 차리기 1 열 : 시접, 잔반, 메(밥) 2 열 : 어동육서(漁東肉西) 3 열 : 탕류 4 열 : 좌포우혜(左鮑右醯) 5 열 : 조율이시(棗栗梨枾) 홍동백서(紅東白西) [추석 차례상 차림법] 1열 : 시접(숟가락 담는 대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메를 올린다. 2열 : 어동육서(魚東肉西) - ..
정 지 용(鄭芝溶) 충북 옥천읍에서 북동쪽으로 10리쯤 떨어진 곳에 곧게 뻗어 나간 산줄기, 일자산(一字山)이 있다. 이 산의 계곡에서 흘러내린 물이 모여 실개천을 이루고 있는데, 이 개천을 건너는 다리가 청석교(靑石橋)이다. 지용은 1902년 6월 20일(음력 5월 15일), 이 다리 바로 옆에 있는..
한국형 현모양처 모셔온 글 저만치서 허름한 바지를 입고 엉덩이를 들썩이며 방걸레질을 하는 아내... "여보, 점심 먹고 나서 베란다 청소 좀 같이 하자." "나 점심 약속 있어." 해외출장 가 있는 친구를 팔아 한가로운 일요일, 아내와 집으로부터 탈출하려 집을 나서는데 양푼에 비빈 밥을 ..
오교삼흔 (五交三釁) 갑자기 오랜 우정의 절교가 세간의 화제가 되는 모양이다. 중국 남조(南朝) 때 유준(劉峻·463~522)의 광절교론(廣絶交論)이 생각난다. 세리(勢利)를 좇아 우정을 사고파는 당시 지식인들의 장사치만도 못한 세태를 풍자한 글이다. 먼저 우정에는 소교(素交)와 이교(..
. 幸福의 抒情 詩
. 傑作詩 모음 / 정기모
107세 엄마` 업고다니는 `72세 아들` 감동 사연 “할아버지의 깊은 효심을 보고 가슴속부터 울었습니다. ” (shaoku) 노모를 모시는 백발의 아들 사연이 전파를 타 감동을 주고 있다. 주인공은 20일 방송된 SBS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일이`에 소개된 이건우(72) 할아버지. 방송에 따르면 충남 보..
의좋은 형제 이조년(李兆年) 고려 말엽 충혜왕때의 학자이자 명신인 이조년(李兆年 1269~1343)은 호를 매운당(梅雲堂)이라 했는데 유명한 시조 '이화에 월백하고'의 작가 이기도 하다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일지 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