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종님 대신 머슴 교회로IMMANUEL 2011. 11. 21. 10:06
'종님' 대신 서로 섬기는 '머슴' 교회로
송영선 목사, '맞섬과 초월' 정신 가진 '머슴 목회자' 많아져야 2011년 11월 07일 (월) 박지호 ( 기자에게 메일보내기 )( simpro ) 메릴랜드 빌립보교회(송영선 목사)가 주최한 머슴교회 세미나가 지난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빌립보교회에서 진행됐다. 미주 지역 60명의 목회자와 평신도가 참여한 가운데 열린 이번 행사에서 송영선 목사는 '왜 머슴교회 세미나인가' 하는 질문에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고자 하는 운동"이라고 대답했다.
▲ 올해로 2회째를 맞은 머슴교회세미나. 빌립보교회가 매년 주최하고 있다. 머슴과 교회 본질과의 관계는 무엇일까. 송 목사는 "교세 위축 현상은 진리 추구보다 교세 확장이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교회를 부패시키는 '삼위'가 있는데, 더 많은 교인을 원하고, 그래서 파워가 커지면, 동시에 위상이 높아지는 '상향성'이 한국 교회의 부패를 촉진시킨다고 진단했다.
"세상의 으뜸이 되려는 마음이다. 강해야 한다. 강한 자가 되기 위해서 몸부림친다. 많아야 한다. 높아야 한다. 교회 성장에 목을 매는 이유도 이거 아닌가. 많아야 하고 좋은 교회 성공한 교회, 큰 교회 다니면 대접받고, 1%가 되기 원하는 마음 아닌가. 이게 세상의 마음이다."
종이 너무 커져버린 한국 교회
'머슴'이란 단어는 그 반대를 의미한다. 낮아진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뜻한다. 머슴이란 단어를 핵심 키워드로 설정한 것에 대해서는 "종이란 단어가 더 이상 한국 교회에서 예수의 참모습을 보여줄 수 없다"고 여겼다며 짧은 일화로 대답을 대신했다.
"수년 전 어느 목사님이 교회에 오셔서 '요새는 종이라는 단어도 격상이 되어서 종님, 큰종, 작은 종, 위대한 종 등의 표현으로 본래의 의미가 희석되었다. 이제는 종 대신 성경이 의미하는 예수의 마음을 더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단어를 찾아야 하는데 아무래도 머슴이 더 적절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래서 송영선 목사가 명명한 '머슴의 도'는 결국 욕심이 지배하는 운영 체계를, 예수의 마음이라는 운영 체계로 바꾸려는 시도다. 그는 이를 성경이 말하는 10가지 교회의 본질적인 가치로 정리했고, 이를 함께 나누는 자리가 머슴세미나인 것이다.
"욕심이 지배하는 운영 체계는 서로 키를 재려 한다. 키를 재면 편이 갈라지게 되어 있다. 편 가르기 시작하면 분쟁이 시작된다. 교회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편 가르기다. 교회는 그런 것을 초월해서 맞서야 하는데 교회 안에서 지연과 학연이 판을 치고, 가진 자와 못가진 자가 나뉜다. 이는 세상적인 운영 체계다. 편을 가르면 반드시 힘을 겨루게 된다. 지배받지 않고, 멸시 당하지 않고, 무시당하지 않기 위해서다. 머슴이 되지 않기 위해서다."
▲ 송영선 목사는 '머슴의 정신'을 욕심이 지배하는 운영 체계를, 예수그리스도의 마음이라는 운영 체계로 바꾸려는 시도라고 말했다. 오늘날 교회, 예수 빠진 예수 그리스도교
송 목사가 말하는 양보할 수 없는 교회의 핵심 가치 중에 우선은 "예수그리스도를 바로 믿는 것"이다. 당연하고 진부한 정의지만 송 목사는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교다. 그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에서 빠져 있다. 이것이 문제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한국 교회의 급격한 쇠락도 기독교가 스스로 자초한 결과라고 말했다.
"숭실대 기독교학과 박정신 교수는 한국 교회가 쇠퇴하는 이유에 대해 '반기독교세력이 부추겨서 쇠퇴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 스스로가 한국 기독교 쇠퇴를 자초했다'고 말했다. 원인을 종교지도자들이 돈과 권력과 명예를 쫒는 것에서 찾았다. 70~80년대를 지나면서 교회가 돈과 파워를 가지면서 인기와 명예를 얻으면서 상대적으로 교회가 쇠퇴하고 있다."
송 목사는 "우리 안에 있는 파워를 향한 열심이 교회를 예수가 없는, 맛을 잃은 소금처럼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송 목사는 "하나님의 의에 대한 잘못된 이해 때문에 교인들이 받는 고통도 크다"며 의에 대한 오해도 짚었다.
"현대 교회가 하나님의 의와 인간의 의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왜곡하는 것이 문제다. 스스로도 설교 때마다 율법을 만들어서 반포하는 게 아닌가 하는 성찰을 한다. 교인들을 보다 열심히 교회에 헌신, 봉사하게 만들고, 율법을 지키게 만드는 건 아닌지. … 그런데 한인 교회와 한국 교회는 '더 교인이 많아야 돼', '더 의로워져야 돼'라고 말하면서 그렇지 않으면 하나님 앞에서 책망 받을 것처럼 몰아가고 있다. 예수님은 나한테 와서 쉽고 가벼운 내 멍에를 매라고 말했지만, 교회는 오히려 적극적인 의를 쌓아서 하나님께 도달하고자 하는 수고하고 무거운 짐진 자들로 만들고 있는 것 아닌가."
▲ 머슴세미나에서는 퍼스널 프로파일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시작했다. 빌립보교회의 권강현 장로가 직접 진행했다. 참석자들이 스스로의 행동유형을 파악하고, 상대방 유형을 이해하고 수용하기 위한 성찰의 도구다. 행동유형은 크게 주도형, 사교형, 신중형, 안정형의 크게 네 가지로 나뉘는데, 자신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맞섬과 초월의 정신 상실한 한국 교회
송 목사는 이런 왜곡이 그리스도 예수의 은혜를 잊어버리게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목회자들은 교인들이 적극적인 인간의 의보다 수동적인 하나님의 의를 추구하도록 인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가 오직 예수를 구하는데 있어서 목회에서 가장 염두에 둬야 할 것이 수동적인 의다. 적극적인 의가 아닌 수동적인 의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 그래야 오직 예수 중심의 생활을 회복하는 것이다."
마틴 루터의 종교 개혁의 원인은 오직 열심이었다. 부패와 불의가 가득한 상황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없는 열심만 쫒아가는 현실에 반기를 든 것이다. 송 목사는 '욕심이 지배하는 운영 체계'를, '예수의 마음이라는 운영 체계'로 바꾸면 현대 교회가 상실한 '맞섬'과 '초월'의 정신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교회 안팎에서 교회 갱신이 나오고 있는데 무엇을 개혁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스스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목회자 자질? 성장 제일주의? 세속화? 세습? 교회가 맞섬과 초월적인 정신이 부족했다. 세상에 대해서 대조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치만 중심이 되는 곳이 교회여야 한다. 그래서 세상을 부끄럽게 만들고, 이를 보고 세상이 놀라도록 맞서는 영성이 필요한데, 교회의 그 본질을 잊어버렸다."
▲ 행동유형별로 소그룹을 만들어 '사역할 때 언제 낙심되는지?' 등을 이야기하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 과정을 통해 갈등을 해소하고 협력하는 관계로 발전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기도 했다. 가령, 안정형인 장로가 주도형인 목사를 만나면 너무 몰고간다고 생각하지 않겠냐는 말에 목회자들은 웃음을 터트리기도 했다. 어찌하여'에서 '그럴 수 있지'로
머슴의 정신이 이끄는 목회가 어떤 모습일까. 송 목사는 "한 영혼을 귀중히 여기고, 목양을 우선하고, 사건보다 과정을 중시하는 목회"라고 말했다. 교회가 사건에만 매달리게 되면, 이벤트성 예배, 전도, 제자훈련이 교회 스케줄을 가득 메우게 되고 실적 위주로 전락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영혼을 낳고 자라게 하고 다시 재생산하게 되는 목양을 등한시하게 된다.
송 목사는 평신도 사역 위주로 교회 사역을 바꾸는 것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권위를 부여 받은 섬기는 이들이 종이 되는 머슴의 정신이 있어야 평신도 위주의 사역의 자리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한국 교회 내에 상존하는 유교적인 문화, 즉 서열 문화를 배격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회가 계급화 되면 교회가 지배자의 것이 되기 쉽고 지도자 계열에 들어가지 못하는 대다수는 구경꾼 혹은 비평자로 전락하게 되기 때문이다.
송 목사는 자신이 쓴 <머슴교회>라는 책을 통해 '그럴 수도 있지'라는 태도를 강조했다. 교회마저 실수를 두려워하고 비판하는 '어찌하여'의 경직된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모든 것을 최선을 다해 열심히 사역한 후에는 '그럴 수도 있지'라고 말하며 과정에 집중하고, 결과에 자유로워야 한다는 것이다.
"유대교 문화는 매사에 '어찌하여'라는 단어를 즐겨 썼다. 실수해도 안심할 수 있는 교회가 현대 교회다. 점점 더 '어찌하여'라는 소리가 많이 들린다. 그래서 교회가 무서운 곳이 되어버렸다. 자유가 없고 진실이 사라졌다. 그런 소리 안 들으려고 긴장하면서 교회 생활을 한다. 목사들의 책임이 크다. '어찌하여'는 율법주의를 문화로 삼는 종교인들의 함성이다. '그럴 수도 있지'는 복음으로 사는 그리스도인들의 응답이다."ⓗ http://cafe.daum.net/ilmak
출처 : ╋예수가좋다오글쓴이 : (일맥) 원글보기메모 :'IMMANU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日本語 주기도문 (0) 2011.11.25 [스크랩] 日本語 사도신경 (0) 2011.11.25 [스크랩] 문제가 생겼습니다. (0) 2011.11.20 사례비 (0) 2011.11.19 [스크랩] 하나님께 상소합니다! (0) 2011.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