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온실가스 개념 및 현황
    GC Ecology Forum 2013. 4. 10. 21:09

     온실가스 개념 및 현황
    “온실가스”란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등의 물질로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하거나 재방출하여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 상태의 물질을 말합니다.
    온실가스의 개념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온실가스
    - “온실가스”란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으로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하거나 재방출하여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 상태의 물질을 말합니다(「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2조제9호).
    ※ 수소불화탄소(HFCs)와 과불화탄소(PFCs)는 다음과 같습니다(「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2조 별표 1).
    온실가스

    1. 수소불화탄소(HFCs)

    HFC-23, HFC-32, HFC-41, HFC-43-10mee, HFC-125, HFC-134, HFC-134a, HFC-143, HFC-143a,HFC-152a, HFC-227ea, HFC-236fa, HFC-245ca

    2. 과불화탄소(PFCs)

    PFC-14, PFC-116, PFC-218, PFC-31-10,PFC-c318, PFC-41-12, PFC-51-14

    ※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란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유입되었다가 다시 우주로 보내지는 열의 일부를 대기 중의 수중기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가 흡수하여 대기를 따뜻하게 유지시켜 지구를 마치 온실의 유리처럼 보온해주는 효과를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온실효과는 지구의 평균기온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만약 자연적인 온실효과가 없다면 지구표면에서 반사된 열들이 모두 우주로 빠져나가게 되어 결국 지구의 온도는 현재보다 약 30℃정도 낮아져서 대부분의 생물들이 살기에는 너무 추운 환경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산업화 이후 화석연료 사용의 증가로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프레온, 오존 등의 온실가스가 공기 중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습니다. 온실가스가 증가하여 온실효과가 더욱 진전되면 대륙의 내륙지방은 더욱 건조해지고, 해안지대는 더욱 많은 비가 오게 되고 추운 계절이 짧아지고 따뜻한 계절은 길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제일 큰 피해는 극지의 빙산들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해서 지대가 낮은 나라들은 완전히 바다에 잠기게 됩니다.
    [출처: 녹색성장위원회(http://www.greengrowth.go.kr/) 용어사전]
    온실가스 배출
    - “온실가스 배출”이란 사람의 활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대기 중에 배출·방출 또는 누출시키는 직접배출과 다른 사람으로부터 공급된 전기 또는 열(연료 또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것만 해당)을 사용함으로써 온실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간접배출을 말합니다(「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2조제10호).
    온실가스 배출 현황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현황(2007년 기준, 2009년 지식경제부 발표 기준)
    -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은 2007년 기준 620.0백만tCO₂로 2006년의 602.6백만tCO₂ 대비 2.9% 증가하였습니다.
    - 이는 선진국 의무감축 기준연도인 1990년 배출량과 비교하였을 때 103% 증가한 규모로서 연평균 4.3%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출처: 녹색성장위원회(http://www.greengrowth.go.kr)]
    우리나라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2007년 기준, 2009년 지식경제부 발표 기준)

    (단위: 백만tCO₂)

    부문

    1990

    2000

    2004

    2005

    2006

    비중

    1990~2006 증가율

    총배출량

    305.4

    (100)

    461.2

    (151.0)

    534.4

    (175.0)

    596.7

    (195.0)

    602.6

    (197.0)

    620.0

    (203.0)

    4.3

    - 에너지

    247.8

    (81.1)

    372.2

    (80.7)

    438.8

    (82.1)

    498.9

    (83.6)

    505.9

    (83.9)

    525.4

    (84.7)

    4.5

    · 전환

    37.9

    (15.9)

    83.0

    (22.6)

    125.7

    (29.1)

    170.8

    (34.8)

    179.3

    (36.1)

    189.8

    (36.8)

    9.9

    · 산업

    87.2

    (36.5)

    132.8

    (36.2)

    152.4

    (35.3)

    156.2

    (31.8)

    157.5

    (31.7)

    167.2

    (32.4)

    3.9

    · 수송

    42.2

    (17.7)

    76.7

    (20.9)

    86.6

    (20.0)

    97.5

    (19.9)

    99.3

    (20.0)

    100.2

    (19.4)

    5.2

    · 가정상업

    64.7

    (27.1)

    69.7

    (19)

    63.5

    (14.7)

    61.1

    (12.5)

    56.7

    (11.4)

    54.5

    (10.6)

    △1.0

    · 공공 기타

    7.0

    (2.9)

    4.6

    (1.3)

    4.0

    (0.9)

    4.9

    (1.0)

    4.3

    (0.9)

    4.5

    (0.9)

    △2.5

    - 산업공정

    19.9

    (6.5)

    47.1

    (10.2)

    58.3

    (10.9)

    64.8

    (10.9)

    63.7

    (10.6)

    60.9

    (9.8)

    6.8

    - 농업

    15.2

    (5.0)

    22.4

    (4.9)

    20.6

    (3.9)

    18.2

    (3.1)

    17.5

    (2.9)

    18.4

    (3.0)

    1.1

    - 폐기물

    22.5

    (7.4)

    19.5

    (4.2)

    16.7

    (3.1)

    14.7

    (2.5)

    15.6

    (2.6)

    15.3

    (2.5)

    △2.2

    1. ( )는 구성비임

    2. 온실가스 총배출량/순배출량지수는 1990년 100일 때 상대지수

    3. tCO₂: Tons of Carbon Dioxide(이산화탄소톤)

    4. 1990-2007 증가율 %는 연평균 증가율임

    5. 에너지부문 중 탈루성 배출(2007년, 6.7백만톤)은 제외됨

    [출처: 녹색성장위원회(http://www.greengrowth.go.kr)]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