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오우가(윤선도)
    COMPOSE 2010. 7. 17. 21:09

     

     

    윤선도

    1587(선조 20)~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시조작가.


    윤선도 /윤선도의 글씨, 〈명가필보〉에서

    정철·박인로와 더불어 조선 3대 시가인(詩歌人)의 한 사람으로, 서인(西人) 송시열에게 정치적으로 패해 유배생활을 했다.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해옹(海翁). 부정공(副正公) 유심(唯深)의 둘째 아들이었는데, 8세 때 백부인 관찰공(觀察公) 유기(唯幾)의 양자로 가서 해남윤씨의 대종(大宗)을 이었다. 11세부터 절에 들어가 학문연구에 몰두하여 26세 때 진사에 급제했다. 1616년(광해군 8) 이이첨의 난정(亂政)과 박승종·유희분의 망군(忘君)의 죄를 탄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를 당해, 경원(慶源)·기장(機張) 등지에서 유배생활을 하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 풀려났다. 고향인 해남에서 조용히 지내던 중 1628년(인조 6) 봉림(鳳林)·인평(麟坪) 두 대군의 사부가 되면서 인조의 신임을 얻어 호조좌랑에서부터 세자시강원문학(世子侍講院文學)에 이르기까지 주요요직을 맡았다. 그러나 조정 내 노론파의 질시가 심해져 1635년 고향에 돌아와 은거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가복(家僕) 수백 명을 배에 태워 강화로 떠났으나, 이미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남한산성을 향해 가다가 이번에는 환도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세상을 등질 결심을 하고 뱃머리를 돌려 제주도로 향해 가던 중 보길도의 경치를 보고 반해 부용동(芙蓉洞)이라 이름하고 여생을 마칠 곳으로 삼았다. 1638년 인조의 부름에 응하지 않은 죄로 영덕(盈德)으로 유배를 당해 다음해 풀려났다. 보길도로 돌아와 정자를 짓고 시(詩)·가(歌)·무(舞)를 즐기며 살았으며, 효종이 즉위한 이래 여러 차례 부름이 있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무민거(無憫居)·정성당(靜成堂) 등 집을 짓고, 정자를 증축하며, 큰 못을 파는 등 호화로운 생활을 즐기면서 제자들을 가르쳤다. 1659년 효종이 승하하자 산릉(山陵)문제와 조대비복제(趙大妃服制)문제가 대두되었다. 남인파인 윤선도는 송시열·송준길 등 노론파에 맞서 상소로써 항쟁했으나 과격하다고 하여 삼수(三水)로 유배를 당했다. 1667년(현종 9) 그의 나이 81세에 이르러 겨우 석방된 뒤 여생을 한적히 보내다가 1671년(현종 12) 낙서재(樂書齋)에서 세상을 마쳤다. 그는 성품이 강직하고 시비를 가림에 타협이 없어 자주 유배를 당했다. 한편 그는 음악을 좋아하는 풍류인이기도 했다. 특히 그가 남긴 시조 75수는 국문학사상 시조의 최고봉이라 일컬어진다. 그의 시문집으로는 정조 15년에 왕의 특명으로 발간된 〈고산유고〉가 있다. 이 시문집의 하별집(下別集)에 시조 및 단가 75수가 〈산중신곡 山中新曲〉 18수, 〈산중속신곡 山中續新曲〉 2수, 기타 6수,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40수, 〈몽천요 夢天謠〉 5수, 〈우후요 雨後謠〉 1수 순서로 실려 전한다. 〈산중신곡〉 18수 가운데 〈오우가 五友歌〉는 물·돌·소나무·대나무·달을 읊은 시조로 널리 애송되었다. 〈어부사시사〉는 효종 때 부용동에 들어가 은거할 무렵에 지은 것으로, 봄·여름·가을·겨울을 각각 10수씩 읊었다. 그의 시조는 시조의 일반적 주제인 자연과의 화합을 주제로 담았다. 우리말을 쉽고 간소하며 자연스럽게 구사하여 한국어의 예술적 가치를 발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숙종 때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오우가 (五友歌)

                                                                             

    [水]                                                                        

    내 버디 몃치나 하니 슈셕(水石)과 숑듁(松竹)이라


    동산(東山)에 달오르니 긔더옥 반갑고야


    두어라 이 다삿 밧긔 또 더하야 무엇하리


    구름빗치 좋다하나 검기를 자로 한다


    바람소리 맑다 하나 그칠적이 하노매라


    조코도 그츨뉘 업기는 믈뿐인가 하노라

     

    [石]


    고즌 므스일로 퓌며셔 쉬이 디고


    플은 어이하야 프르난 닷 누르나니


    아마도 변티 아닐산 바회뿐인가 하노라


     


    [松]


    더우면 곳퓌고 치우면 닙 디거늘


    솔사 너는 얻디 눈서리를 모르난다


    구쳔(九泉)의 블희 고단 줄을 글로하야 하노라



    [竹]


    나모도 아닌거시 풀도 아닌거시


    곳기난 뉘시기며 속은어이 뷔연난다


    뎌려코 사시(四時)예 프르니 그를 됴하 하노라


     

    [月]


    쟈근거시 노피떠셔 만물(萬物)을 다비취니


    밤듕의 광명(光明)이 너만하니 또잇나냐


    보고도 말 아니하니 내벋인가 하노라


     



    윤선도(尹善道: 1587~1671)가 지은 시조 6수.


    1642년(인조 20) 금쇄동(金鎖洞)에 은거하면서 지었다.


    서사(序詞)에 해당하는 첫 수와


    수(水) · 석(石) · 송(松) · 죽(竹) · 월(月)에 대한


    각 1수씩으로 되어 있다


     

    윤선도(오우가).hwp


     



     


     




     


    윤선도(오우가).hwp
    0.05MB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