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방송제작
    BROADCASTING 2009. 3. 22. 18:08

    방송제작

    1. 방송기획

      방송은 broad, casting이다. 둘다 넓게 보낸다는 것이다. 즉 불특정 대다수에 뭔가 전달하는 작업인데 과연 무엇을 보내는가?  두말 할 나위 없이 program이며 그것이 오락이건 보도건 service기능과 socialazation기능을 지닌 message이다.

      그렇다면 이 program은 어떻게 만드는 것이며, 어떻게 만들어야 청취자와 만족내지는 공감할 수 있는 communication을 가질 수 있는가?  이것이 궁극적으로 이 기획론에서 우리가 살펴야할 검토점이다. 그런데, 기성방송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 그리고 대학생이란, 제한된 공간과 시간 그리고 청취층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방송 P.D에게는 비교적 구속성이 있으나 작은 범위에서 다루어도 무방할 것 같다.

      기획이란 program제작시 기본 뼈대(fundamental frame)라 할 수 있다.

      Anorld Hauser가 예술품의 유기체적 독립성을 인정한 Georg Lukac's의 관심을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에서 통사적으로 다룬 것처럼 방송 역시 전달 효과가 미치는 시간과 공간내에서 지니는 연계성으로 일종의 유기체적 모습을 지니며, 그 잔류로서는 예술품처럼 원형 그대로 남는 것이 아니라, program원형은 거의 손상되고 청취자의 절대적인 mimesis(모방,모사)와 reconstruction(복원,재구성)으로 변형한다. 이 memesis와 reconstruction의 원인과 재료가 되는 것이 바로 기획이다.

      물론 지금은 예술작품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미학(aesthetic)의 방법론적 관점을 빌린 것 뿐이다. 기획의 종류로는 최소 기획 단위인 Ment기획으로부터 program기획(작품,정규방송), 시리즈기획, 방송제기획, 방송편성 기획을 제외한 나머지는 각기 고유한 특성을 지니는 동시에 일종의 기, 승, 전, 결 체제(system of four steps in composition)를 갖는다. 방송 편성 기획은


     trainning기획등과 함께 제작보다 실무적인 작업이므로 그 성격을 달리한다.

      제작이란 Ment, Music, Directing으로 이루어져 P.D의 massage를 다 담은 program을 만드는 작업이다. 흔히 Music과 Directing은 - 특히 정규방송에서 - 아주 소홀히 하게 되는데, 이는 이 둘의 성격이 치장과 기술적인 면이 강하다는 선입관 때문이다.  따라서 program 제작시 P.D는 이 세부분을 모두 같은 비중 - 시간과 노력의 - 으로 놓고 시작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기획이란 글씨만의 Ment에서 마무리 되는 것이 아니라 이 세부분 모두의 기획을 의미하며 나아가 청취자의 반응까지 계산하는 communication의 영역까지 확대되는 것이다.  여기서 기초적인 음악 program의 기획하나를 살펴보면,

         Title : G선상의 아리아

    ---------------------------------

      Ann : 여 1 명      Eng : 1 명     생방송(o)  녹음방송( )

      RT  : 40 min       방송일시 : 월요일 저녁 방송



      위 program은 Ment상의 기. 승. 전. 결. 체제나 Ann의 특별한 연기력도, Eng의 Technical effect나 insert등 다른 부대요소도 없는 방송중 가장 기초적인 기획형성이다.

    아마 비(非)방송인도 이 정도 기획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기획은 투시도라고 정의를 내린바, 이것으로서 위의 40분짜리 program이 어떤 방송인가를 활자만으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기획은 우선적으로 program의 전반적인 흐름과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기획에 반드시 기록되어야 할 - 기획시 생각해야할 - 것은 다음과 같다.


      (1) Title     (2) Format   (3) Ann및 Eng  (4) 방송형식 : 녹음,생

      (5)Running T  (6) Sunning T (7) 방송일시 (8) Ment, Music, Insert,

      Effect의 배열순서 (9) Ment의 내용 : Issue및 Topic (작품제작시 기

      획의도가 담긴 개요를 추가시킨다.)

      좋은 program기획을 하려면 program의 성격과 의도를 확실히 주지해야 한다. 정규 방송의 경우 내적으로는 program의 identity와 consistency를 지녀야 하며, 외적으로는 시사, 학내상황, 방송시간대, 날씨등 제반적인 분위기를 파악하여 issue및 topic을 설정하여 producing한다. 기획은 미묘한 감정까지도 세밀한 계산속에서 이루어져야하며 자신의 Ment와 Music 그리고, Ann의 Annoucing 또는 acting이 speaker를 통해 청취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은 어떤 반응을 불러 일으키는가까지 예상하여야 한다. 기획에 따라, 이루어지는 Mentization은 어떤 기술적인 측면이지 방송의 깊이는 아니다.

      Program기획은 issue설정 → topic의 설정 → 배열의 순서인데 배열후 자료수집을 거쳐 mentization을 한다. 물론 Mentization을 하기전에는 기획의 최소단위인 Ment기획을 한다.(배열에서는 music, insert, effect및 Ann의 Announcing이나 acting까지 고려하도록 한다.)

      이 program기획순서는 정규방송은 물론 작품 제작까지 적용되는데, 작품 제작 이전에는 기획의도가 담긴 개요를 먼저 생각한다. 왜냐하면, 작품이란 - D.J구성, 녹음구성, Drama, 종합구성, Conte, Feature, 실험구성 -다양한 Format으로써 PD의


    massage와 제작의도가 청취자에게 보다 정확하게 전달되기 위함으로 같은 issue라도 format에 따라 그 전달 효과 -communication의 의미로써-가 판이하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작품은 service기능 보다 socialization기능이 지배적이므로 PD의 제작범위확대와 자질향상 그리고, 창조적 배양의 이차적 효과도 지닌다.

      대하드라마로부터 Conte나 campaign에 이르기까지, 하다못해 한장의 Ment에서도 펜을 들었을때 PD는 이 기승전결체제에 의해 program을 제작해야 한다.

      기승전결체계는 보도뉴스와 중계를 제외한 모든 program에 다 있는 체계이다. 드라마에서도 발단, 전개, 위기, 절정, 파국이란 단계의 기승전결체계를 지닌다. 이 체계는 음악의 sonata형식과 유사한 mimesis를 나타내며, 청취자와의 communication에서도 반복훈련된 형식이므로 우선적인 위치에 설 수 있다. 또 이 체계는 청취자와의 communication에 무리없도록 해주는 대신에 이 순서가 바뀌거나 무시되면 massage전달상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기승전결체계는 다음 세가지로 크게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로 수사(rhetoric)나 논리(logic)에 근거를 둔 변증법적 전개방식

        둘째로 우연(fortunity)이나 필연(necessity)에 의한 인과적 전개방식

        그리고 배열(arraying)을 통한 단순전개방식이 대표적이다. 기승전결체제는 1번message전달 효과가 상승하는 역학관계를 만든다. 즉, 두 문장을 하나로 묶는다거나

    문장을 둘로 분리시키는 세세한 것으로부터 결론을 미리 암시한다거나 title을 뒤로 빼는 복잡한 구강상의 모든 technique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ment기획과 program기획에 대한 개론적인 면을 살펴보았고,


    다음은 방송제 기획을 알아보도록 하자.


     방송제는 보여주는 작업이다. studio를 개방시킴으로써 학우들에게 정규방송과는 달리 시각적인 방송 - 공개방송 - 을 하는 것이다. 요 몇 년사이 각 대학 방송 방송제의 어떤 견학적인 측면의 방송제는 학우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가 방송을 이렇게 한다' 하고 단순히 PD의 CUE Form이나 기재상의 전시회는 이미 알고 있으며, 거의 상식화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방송제는 어떤 공연물 - 예를 들면, 연극, 음악회, 전시회, 학술모임, 그리고 세미나등 - 처럼 Radio방송임에도 불구하고 시각적인 모든 효과를 높임으로써 방송제만이 기획과 구성을 지닌 일개 Program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더우기, 사람이 하루 정보를 입수하는 감각에서 시각과 청각을 100%로 놓는다면 시각에 의한 것이 80%나 된다는 사실이 보여주는 방송제의 필요성과 효과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 뒷받침하고 있다.

      방송제는 이런 외적인 중점과 더불어 내적으로는 국원사이의 인화의 의미를 지녀야 한다. 즉,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대규모의 준비과정과 시설이 투입되느니 만큼 이 모든 것을 움직이는 인력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다. P.D의 작품이 빨리나오지 않으면 Ann와 Eng는 소속감과 주인의식을 상실하게되는 문제로부터 실무진의 방송제 기획이 탄탄하지 못하고, 제작자에게 막무가내의 자율권을 준다면 산발난립식의 작품전시만 될 뿐 유기체의 마찰적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지치지않도록 건강관리와 분위기 전환 및 조성이 중요하며 준비과정이 방송 전국원의 인간관계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방송제가 이런 내적 외적인 기능을 모두 갖추더라도 이 둘 사이를 연결해주는 상호 작용적 위치에 있는 흥행을 무시할 수 없다. 어떤 의미로는 이 흥행에 대한 노력과 관심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방송제의 성패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다. 아무리 작품성이 뛰어난 작품을 만들더라도 청중에게 관심이 없고, 청중이 재미를


    느끼지 못하면 - 청중과의 호흡적 communication이 열리지 않으면 - 청중은 냉혹하게 자리에서 일어나고 만다. 평균 RT 150min이란 거대한 방송제에 처음부터 끝까지 한 사람의 청중도 자리를 뜨지 않게 만드는 법은 입구의 폐쇄가 없는 한,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일단 청중이 끝까지 방송제와 함께하는 비율을 높이려면 청중이 만족하고 재미가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어느 한 PD의 작품이 청중을 자리에 앉혀 놓지 못한다면 분명히 다음 Program순서의 PD는 아무리 좋은 작품을 만들었어도 적은 숫자의 청중에게만 Message를 잔달하게 되는 불행을 겪게 된다. 따라서 PD개개인은 자기 작품의 제작도 중요하지만 자기 Program이 시작할때 청중의 숫자만큼 다음 PD의 Program도 가능하도록 책임을 져야만 한다. 즉 자기 Program을 심혈을 기울여 만든 만큼 그다음 순서의 PD역시 심혈을 기울여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Program이 재미 위주의 통속적인 성격이 되면 Program의 작품성은 물론 방송제 질과 대학인으로서 순수와 깊이가 없어진다는 우려를 낳는다고 반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순수와 깊이를 유지하며 재미 - 즉 흥행 - 를 지니는 Program이 나와야 대학인에 의한 방송제란 고유의 특성을 지니는게 아닌가 반문하고 싶다. 그 만큼 방송제는 이미 정규방송과 그 성격과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시각적인 측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1. 조명 : 단순히 on-off식의 밝기가 아니라 이것은 limelight를 의미한다.   limelight의 생명은 rythem에 있다. 즉 Program의 change와 situation또는 scene의 change 마다 조명의 밝기, 색상, 크기, 종류등이 다 달라지며 음악마다 조명도 함께 그 rythem을 갖는다.

     2. Slide : Slide는 정지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Slide를 사용할 때는 좋은 shoot을 켜져있는 시간의 Ment와 잘 부합되어야 하는 것이다. Slide제작시에는 이와 함께 film의 감도와 camera의 노출에 신경쓰도록 한다.

     3. Video : Slide에서 Ment는 Slide의 부수적인(설명적인) 위치에 있지만 Video는 Ment가 그 위치에 들어간다. 이 미묘하면서도 현저한 차이를 잘 인식해야 한다.

     4. Acting : 일부 방송제에서는 Program에서 voice acting뿐만 아니라 실제로 body acting - 물론 가벼운 것이지만 - 을 사용함으로써 연극적 situation설정한다. 이것은 video보다 더 reality를 더해주므로 그 효과는 크지만 이 효과가 크기 위해서 섣불리 단순한 acting을 조미료식으로 사용한다면 오히려 유치해지게 된다. 그러므로 body acting은 많이 정제된 동작으로 꾸밈으로써 제작하도록한다.

     5. Stage Manner : 이것은 Ann의 pose - standing pose, sitting pose - 로부터 PD의 Cue form, Program team의 changing, 그리고 제반적인 - 방송제를 통틀어 - 방송국원들의 움직임을 말한다. Stage Manner의중요함은 방송제가 산만하지 않고 순발력있는 program전환을 위해 꼭 필요하다. rehearsal 때는 반드시 이런 세


    세한 부분에 신경을 쓰도록 한다.


     2. P.D의 어원


      첫째 : 기획, 연출 담당자를 가리키는 Planning Director에서 시작됬다.

      둘째 : Producing Director. 곧, 제작하는 연출자에서 나온 말이다.

      세째 : Producer - director. 곧, [프로듀서 겸 디렉터] 로서 제작자와 연출자를 함께 이르는 말이다.

      이외에도 여러 주장의 의견들이 미분화 상태에 있어서 기획, 제작을 맡는 프로듀서와 감독, 연출을 맡는 디렉터가 명확하게 구별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P.D의 외양상의 기능은 기획, 제작, 구성, 연출, 총감독 쯤으로 얘기할 수 있을 것이다.


     3. Producer와 Director의 구분


      우리나라에서는 P.D를 Producer와 Director라는 용어로 제작자와 연출자를 통용해서 부르지만 원칙적으로 제작자인 Producer와 연출자인 Director의 기능은 분류되며 맡아서 하는 책임과 역할도 구분되어 각각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다.


      Producer(제작자)

      Producer는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사람이다.

      프로그램의 idea를 구상하며 또한 제작과정에 필요한 자료를 준비한다. 또, 제작비, 출연계약, 자료수집 등을 담당하고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그에 따라 기계설비를 준비하며 어떤 기재들이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가를 사전에 파악 준비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진행과정에 적극 참여하여 순조로운 진행을 이끌어 간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Producer는 방송프로그램의 기획과정에서 제작과정을 거쳐 시청자(청취자)에게 전달돠는 잔과정을 통해 책임과 역할을 지는 방송의 중추신경과 같은 존재이다.


      Director(연출자)

      모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인원들을 연출자의 연출에 의해 그들의 연기가 살고 죽는다. 결국 모든 프로그램의 최종적인 완성은 연출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연출자는 단순한 기능인 보다는 예술인으로 정진하며 어떤 고난과 시련이 연출도중에 생겨 나더라도 항상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P.D란 말은 T.V 초창기에 일본에서 그냥 빌어온 결과로 지금까지 그대로 쓰이고 있으나, 앞으로 방송조직이 확대되고 방송요원의 책임과 역할이 전문화되면 Producer와 Director로 구분이 뚜렷히 구별될 것으로 보인다.

      단위 프로그램을 맡아서 기획하고 구성, 연출하는 사람을 우리는 P.D라고 한다. P.D는 단위 프로그램에 대한 최고 책임자이자 최종 책임자이다.


     4. P.D가 되려면


     가. P.D는 창의력이 뛰어난 아이디어맨이어야 한다.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사람이 P.D이므로 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서 필요한 자료를 준비하고 시설과 인력을 동원해야 한다.

     나. P.D는 판단력이 탁월해야 한다.

      내려야 할 결정은 빠르고 정확해야 한다. P.D는 속전속결하되 앞을 내다보는 예리한 판단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 P.D는 지도력이 있어야 한다.

      작품에 필요한 사람들을 동원하고 지휘해야 하므로 지도력이 꼭 필요하다.

     라. P.D는 자기 수양이 앞서야 한다.

      P.D는 P.D이기 이전에 인간이 되어야 한다. 자기 수양 없이는 출연자나 제작진들의 신뢰를 받을 수 없다.

     스스로 겸허한 자세로 방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P.D의 인간 됨됨은 그대로 작품에 투영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P.D는 인격자여야 하는 것이다.

     마. P.D는 쇼맨쉽이 있어야 한다.

      쇼맨쉽이란 예리한 관찰력, 훌륭한 취향에 대한 감각을 말한다. 이것은 흥미 감각이기도 하고 드라마 감각이기도 하다. 쇼맨쉽은 교육 되어질 수는 없지만 훈련되어질 수는 있다.

     바. P.D는 인내심이 강해야 한다.

      방송 프로그램 제작이란 아주 복잡하고 까다로운 작업이다. P.D란 '열나는 자리(hot seat)'라고 했다. 의욕대로 모든 것이 되지는 않는다. 마음만 급하다고 해서 뜻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참가자 전원이 공동의 목표를 이해하고 협력할 수 있게끔 설득하고 지도하는 끈기가 필요하다.

     사. P.D는 광기가 있어야 한다.

      생계수단으로써의 방송이냐, 취미로써의 방송이냐, 자기확장으로


    서 방송이냐가 중요하다. P.D는 스스로 좋아서 하지 않으면 견디기 어렵다. P.D는 문화와 생활을 알아야 한다. 여러 방면에 건전한 상식을 가져야 한다. P.D는 상식인이자 전문가여야 한다.

     자. P.D는 행정력이 있어야 한다.

      방송 관계 법규에도 상당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프로그램 내용상 법률 문제는 점차 까다로와지고 있다.

     차. P.D는 훌륭한 조정자여야 한다.

      출연자을이나 제작 스탶사이에 늘 복잡한 문제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잘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P.D는 협동심이 중요하며 돌발사태에 대한 대비책이 있어야 한다.

     카. P.D는 건강을 갖춰야 한다.

     타. P.D는 독창성과 창조력이 있어야 한다.


     5. 라디오 연출(Radio Directing)


     가.제 1단계(Before studio rehearsal)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경우 제작자의 연출자의 역할을 한 사람이 함께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제작자와 연출자의 책임과 역할은 구분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출에서는 기획과정과  *[스크랩]자성과정을 생략하고, 제작자의 손에서 분석 검토된 다음에 연출자의 손에 넘어온 사항을 가지고 시작한다. 이렇게 하여 연출의 1 단계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스크랩]  대부분의 경우 제작자가 스크랩을 쓴다. 특히 non-dramatic프로그램은 제작자가 직접 쓰는데 특수한 경우에 작가에게 맡기더라도 자기의 idea를 그대로 살려가도록 부탁한다. 그리고 스크랩의 format은 전체적으로 single format으로 흘러야 하며 스크랩을 고치게 될때에는 일부분만 고치지 말고 전반적으로 다시 쓰는 것이 좋다.

      1) First reading

       연출자는 스크랩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가면서 전체적인 느낌과 인상을 일일이 정리해야 한다. 그것은 청취자에게 미치는 첫인상은 심리적인 효과를 크게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크랩에서 느낀 자신의 인상을 분석정리하여 청취자에게 강력한 인상을 던져 줄 준비를 해야 한다.

      2) Repeat reading

       스크랩을 두번째 읽으면서 연출자는 전체적인 줄거리를 살리기 위해서는 어떠함 음향효과와 음악을 사용할 것인가를 분석 정리하고 나아가서는 연기와 효과와의 조화를 구상하여야 한다. 또 스크랩이 연속되는 것인가 아니면 1회로 끝날 것인가 혹은 특집인가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연출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3) 작가와 스크랩에 대한 협의

       우리나라는 아직 스크랩을 쓰는 작가는 [드라마-프로그램]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드라마를 제외한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연출자(흔히


     P.D라고 부른다.)들이 직접 쓰고 있다.

       연출자는 작가와 스크랩을 놓고 함께 작품의 theme, 이야기 줄거리 각 항목에 대한 분석과 배역진에 대한 검토를 하며 동시에 작가가 생각하는 작품에 대한 의도를 상세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작가와의 협의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곧 스크랩을 재조정하게 된다.

      4) 스크랩의 배당

       스크랩을 재조정함으로써 연출 계획을 확정하면 스크랩에 연출자의 지시사항을 기재하고는 스크랩을 엔지니어를 비롯한 전 스탭진과 연기자에게 배당한다. 그리고 연출자는 연출의 out line만을 스크랩에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음악에 대한 협의(music conference)

       모든 프로그램에 있어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특히 라디오에 있어서 절대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탭진과의 충분한 협의를 거친 후에 음악에 대한 결정은 자신이 스스로 해야 한다. 그 까닭은 작품 전체에 대한 분석과 해석은 연출자만이 가지는 권리이기 때문이다.

       6) 음향효과 결정

       라디오에서 최대의 효과를 올리는 것은 음악과 음향효과뿐이다. 연출자는 음악에 대한 결정이 끝나면 음향효과를 결정한다. 이때는 효과 담당자와 협의를 한 다음 음향효과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준비를 효과 담당자에게 지시한다.

       7) 배역진을 구성한다.

       배역진 구성은 제작자와 상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그러나 연출자가 제작자의 역할까지 함께 하는 곳에서는 연출자가 혼자서 결정해야 한다.


     나.제 2단계

       (first read through off mike)

        1) 배역을 통고 한다.

        2) 연출계획을 설명한다.

        3) 시간을 잰다.

        4) 시간을 재조정 한다.

        5) 연기의 호흡을 조절한다.


     다.제 3단계(Production reharsal on mike)

        1) mike앞에서 하는 연기

        2) 처음부터 끝까지 연기를 한다.

        3) 매 장면(each sequence)을 철저히 연기한다.

        4) 연속성을 이루도록 한다.

        5) 연기자의 지나친 자기해석을 고쳐준다.

        6) 스탭(staff)과 손발을 맞춘다.


     라.제 4단계(Dress rehearsal)

        1) 완전한 연출을 한다.

        2) 연기와 진행의 지시사항을 기록한다.

        3) 청취자의 입장에서 들어본다.

        4) 어려운 장면은 다시 리허설하여 부드럽고 쉽게 진행하도록 한다.


     마.제 5단계(On the air)

        1) 리허설때와 똑같은 연출을 한다.

        2) 성의 있는 연출을 한다.

        3) Timing을 맞춘다.

        4) 사소한 실수는 눈감아 준다.


     6.방송문장 작성 요령


      가. 서론

        일반적으로 기성 방송국을 생각할때 라디오나 T.V를 막론하고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방송원고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라디오 방송만을 하고 있는 대학방송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방송원고를 써야 한다. 뉴스의 기사 작성에서부터 좌담 프로그램의 소개멘트, 그리고 음악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 프로그램 드라마에 이르기까지 방송원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막중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우기 방송 프로그램의 생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요즘의 경향으로 보아 모든 방송원고를 작성해야 하는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1) 생활 정보 프로그램

        2) 구성(다큐멘타리 포함)

        3) 음악 프로그램

        4) 시사 gossip 프로그램

        5) 캠페인 프로그램

        6) 좌담 프로그램

        7) 드라마 프로그램

        등 거의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 방송원고의 작성이 필요하다.


      나. 방송 원고의 특징

        우선 방송원고의 특징으로는 announcer나 사회자의 '말'을 통해서 청취자의 '귀'에 호소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방송원고는 일반 신문이나 잡지와 같이 독자의 '눈'에 호소하는 글과는 커다란 차이점이 있다. 어디까지나 말을 하는 것이므로 文語體가 아닌 口語體가 되어야 한다. 눈으로 읽을 때에는 듣기 거북한 경우가 우리 주위에는 허다하다. 따라서 방송원고는 철저히 구어체의 문장이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꼽을 수 있는 특징은 공간적이 아닌 시간적이라는 것이다. 활자로 인쇄되어 언제까지나 남아있는 글이 아니라 순간적으로 지나쳐 버리는 말인 것이다.   그러므로 방송 문장은 될수 있는 대로 어려운 문장을 피하고 간결해야 한다.

        그 밖에 일반적인 전달을 한다는 점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다. 작성법

         방송 원고를 작성할 때는 일단 다음의 몇가지를 생각하고 써야 한다.

         a)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

         b)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c) 대상은 누구인가

         d) 필요한 자료는 어떤 것인가

         e) 방송 소요시간에 알맞는 분량인가

          이상의 것을 생각한 뒤에 방송원고 집필에 착수하게 된다.

          이때 앞서 언급한 특징들을 잘 생각해야 한다.

        1) 방송원고는 구어체여야 한다.

        이것은 반드시 지켜야 할 규칙이다. 언뜻보면 아주 간단하게 생각될지 몰라도, 우리는 말을 글로 옮기는 데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구어체의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일단 써 놓은 문장을 읽어보고, 고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써내려 가야 한다.

        2) 방송 원고는 시간적이다.

        방송 원고는 한번 흘러가 버리면 그만이다. 글로 남는 것도 아니고 다시 반복해서 들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한번 듣고도 금방 이해될 수 있는 글이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문장이라도 청취자가 듣고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방송문장으로는 아무 쓸모가 없는 글이다. 청취자가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첫째, 어려운 말을 피해야 한다. 난해한 한자 등은 쉽게 풀어서 써야 한다. 학술적인 내용을 다루는 프로그램일지라도 복잡한 학술 용어를 그래로 사용한다면 그것은 현학작인 허세에 지나지 않을 뿐더러 청취자가 듣지도 않는다. 청취자를 잃어 버린 방송은 죽은 방송이 될뿐이다.

        둘째, 문장을 복잡하게 하지 않아야 한다. 주어가 나온 한참 뒤에 술어가 나온다면 청취자는 벌써 앞의 말


    을 잊었을 것이다. 따라서 될 수 있는 대로 지나친 수식은 피하고 삽입문은 별도로 작성해야 한다. 또 문장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청취자의 이해를 도와야 한다.

        3) 방송 원고는 일관된 흐름이 있어야 한다.

        이말은 결코 소재의 획일성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그 속에 제작자의 의도가 충분히 나타나야 하며 하나의 일관된 주제에 일정하게 연관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또한 시간적이라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방송은 한번 지나치면 그만이기 때문에 프로가 나가는 중간에 듣는 사람일지라도, 그 프로그램이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청취자의 관심을 얻기 위하여 주제와는 다소 가까이 있는 엉뚱한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이것은 하나의 기교에 속하는데 이런 경우라도 그 이야기가 궁극적으로 주제와 관련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특수한 경우나 도입 부분에서 사용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라. 주의할 점

        방송원고 작성시에 주의할 점은 대략 작성법과 동일하나 다음과 같이 간추려 보았다.

        1) 어려운 말은 피한다.

        2) 긍정. 부정을 명확히 한다.

        3) 신체의 불구를 거론하지 않는다.

        4) 불필요한 말, 중복되는 말을 피해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5) 책임질 수 있는 내용을 담는다.

        6) 방송된 후의 영향을 생각해 본다.


      마. 결론

        이상에서 말한 것들이 완전하다고 할 수는 없다. 다만 처음 방송원고를 작성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다소의 도움이 되리라고 믿는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자꾸 글을 써 봄으로써 경험을 쌓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좋은 방송원고를 쓰기 위해서 덧붙여 말하고 싶은 것은 평소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는 스크랩을 철저히 해두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평소에 준비해둔 각종 자료의 스크랩을 방송원고에 주체성과 활력을 넣어주는 무기가 되며 시간을 절약하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7.작품론


      가. 제작 System

        1) Program 계획의 작성      +-(1)종목:보도, 교양, 오락

            +-(2)형식:DJ, 녹음, 종합, 생방송

        2) Program 작성 구상

        3) Cue-Sheet작성

        4) 제작

        5) 수정

        6) 재 완성

        7) 완성

           제작과정  소재선택 - 자료 조사       

       

                     기 획 - 주제와 방향설정. 시간결정계획. 구성방법과 효과                             고려        

                     취  재 - 직접 일선에서 광범위하게

           

                     편 집 - 조사한 내용과 자료에 따라 스크립트 완성. 녹음                              을  편집하고 시간을 잰다.

           

                     원고작성 - 출연자 선정. Cue-Sheet작성

            

                     녹음제작 - Disk. 효과음.

            

                     재 편 집

            

                    방   송


      나. 작품

        1) 주제 선명. 공감성. 미풍양속

        2) 논리 간결성. 복선을 깔지 말것.

        3) 문제성 있는 것을 논하라.

        4) 풍자의 묘사가 있어야 한다.

        5) 청각성이 있다. - image의 전달.

                            한번 나간 방송은 다시 들을수 없다.

                            (못들은 앞부분은 image의 흐름으로 짐작)

        6) 비 기록성

        7) 신문의 지식성 ; 방송의 오락성

        8) 채널의 자유선택

        9) 일반성

       10) 방송은 수필이 아니다.

       11) 방송 윤리 규정에 맞아야 한다.


           형식<구성>

                (1) Ment, 음악과 효과가 일치되어야 한다.

                (2) 기.승.전.결. 형식 기법으로 원고 작성

           편집<상태>

                (1) 10분간  Cut  6--7개

                (2) 20분간  cut 13-14개


      다. 제작의 실제

        1) 자료. 음악. 인물. S.E 기타 소재거리 ; 방송원고작성 - 1차 구성

        2) 수집한 자료로 표현 ; 녹음. 편집. 생방송 - 2차 구성


      라. 제작시 주의 사항

        1) 청취자에 대해 신경쓸것 - 의도대로 청취자가 따르도록

        2) 주제가 뚜렷해야 한다 - 제작의도

        3) 시작후 2.3분안에 청취자의 관심을 끌어야 한다

        4) 작품의 결론은 청취자가 내릴수 있도록 제시만 한다


      마. 원고 제작의 실제

        1) 듣기 쉬운 간결한 style로 쓴다.

        2) 문장은 시작이 중요 - 주어를 내세워라. 문자의 첫머리를 짧게

                                주어가 생략되어서는 안된다.

                                형용사 부사 생략. 동사 많이 활용(대화체)

        3) 시간성을 참작(쿠션 : 앞뒤 프로의 시간 조절을 위해 음악을 깐다.

        4) 올바른 방송용어를 골라서 쓴다.

        5) 한문은 되도록 풀어서 쓴다. - 불가피한 경우에는 사용하고 뒤에 풀어써라.

        6) 간단한 어휘(약어)를 피해서 쓸것

        7) 단어 선택에 유의하여 되도록 쉬운 말을 쓴다.

        8) 유해, 불필요한 말은 피하라.

        9) 조사를 생략해서는 안된다.

       10) 6하 원칙을 맞추어 쓴다.(who, what, where, when, why, how)

       11) 표준어를 사용할것

       12) 구어체를 써라 - 청취자와 이야기 하듯이(동사 활용)

       13) 어휘를 미사여구만으로 문장을 쓰지 말것

       14) 청취자가 잘 알아들을수 있도록 문장을 쓸것

       15) 일반 대중성을 위한 문장으로 일괄 할것

           (단, 대학생, 지식인들을 위한 방송일 경우에는 수준급이어야 함)

       16) 일상 생활에 유익한 Ment이어야 함

       17) 자유로운 마음으로 free talking말을 하도록 할것

       18) 시간의 제한성및


     간결성을 위해 필요한 부분만 직접적으로 제시하기위해 형용사와 부사는 되도록 적게 쓰고 동사를 많이 쓴다.


      바. 제  약

        1) 윤리적 문제

        2) 정치적 문제

        3) 사회적 문제

        4) 예산 문제 - 스폰서 관계


     8.각 Format의 제작 실제


      가.녹음 구성

        1)녹음 구성의 정의

        녹음 구성이란 녹음 Cut과 Script가 들어가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단순한 방송형식에다 녹음물을 삽입함으로써 방송 효과를 높이는 수단이다. 녹음 구성은 크게 나누어서 일반 녹음 구성(생활 정보), [뉴스]녹음 구성, 오락 녹음구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의 방송은 사회구조와 생활양식이 급변함에 따라서 방송 형식도 변하기 때문에 변칙적인 녹음 구성이 개발되고 있다.

        단일 프로그램내에서 여러 녹음물을 모아 놓았다고 해서 그것을 녹음 구성이라고 하지 않는다. 그 녹음물들이 모여서 일관된 주제 아래 체계적으로 통일되어야 하는 것이다.

        (1) 녹음구성의 일반적 특징

        a 구성 프로 중 가장 기초적이고, 가장 쓰임이 많은 구성 프로이다.

        b 녹음 구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녹음컷과 아나운서 멘트이다.

        c 오디오의 2차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기계성, 시간성, 속보성, 침투성, 비기록성이 있다.

        d 제작자의 의도를 정확히 피력할 수 있다. 단, 제작자가 작품의 결론을 내리지 마라

        (2) 녹음 구성의 제작 방법

        a 보편 타당성있는 주제를 선택 할것

        b 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가를 생각할것

        c 청취자가 자신과 같은 결론을 내릴수 있게 유도할것

        d 취재나 주제는 주변에서 찾을 것

        e 주제 방향의 설정을 뚜렷이 할것

        f 녹음 컷의 길이는 40초 정도.  1분을 넘기면 곤란하다.

        g 방송된 후에 영향을 생각한다. (프로 제작의 책임은 일단 프로듀서에게 있다.


    )

        h 반대자에 입장에 처한 사람의 의견도 취재하자.

        i 서론과 결론을 기술적으로 살릴 것

        j ment는 녹음 컷의 반 이상이 되지 않게 한다.(10분 프로에 4-5개 사용)

        k 원고 내용이 녹음컷보다 강해서는 안된다.

        l 서론 부분에서 청취자로 하여금 작품의 이해를 하기 쉽고 P.D의 의도를 의식할 수 있게 한다.

        m 결론에는 어느 정도 P.D의 주관이 들어가야 한다.

        n 청취자에게 신경을 쓸것(자아도취는 금물)

        o 프로가 시작된지 2-3분안에 청취자를 매혹시켜야 함

        p 앞을 내다보는 주제를 선택하라.

        (3) 녹음 구성 취재 요령

        a 10-15분 프로그램인 경우 7-8개 취재 Cut중 4-5개 Cut을 선택 사용하라.

        b Cut의 길이는 통상 40초 정도로 하되 가능한 한 1분을 초과하지 말자.

        c 취재는 문제를 끌어내야 한다.  기자나 P.D는 3단계 앞을 내다보며 대화를 이끌자.

        d 취재기자는 대화자와 동격을 만들자(같은 피해자. 관심자 의식등)

        e 취재는 반대적 현상을 찾아가어나 그 분류를 희망하지만 빠진 사람을 찾아가 보라.

          (ex. 무허가 정비업소의 횡포 - 정비업소 진흥회

               대학생의 부조리 - 재수생                )

        f 취재를 해오면 편집하기에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고 어떻게 엮을 것인가를 생각하라

        g 서론과 결론을 테크닉으로 살리자.


           서두 부분 - 직접형, 간접형, 말의 강한 부분을 effect로 사용함

            중간 부분 - 사실을 설명 ; (공감대 형성)

            결론 부분 - 전체의 1/3비중을 차지.

        (4) 취재상의 유의점

        a 마이크를 테스트하여 녹음기에 이상이 있나 없나를 확인한다.

        b 꼭 필요한 녹음이 무엇인가를 작성한다.

          (중요한 부분을 녹음해야 할때 tape이 모자라면 곤란하다.)

        c 녹음 tape이나 카세트의 여분을 준비한다.

        d 자신의 경험담을 얘기해서 상대방의 꾸밈없는 경험담을 취재하라.

        e 상대에게 동질적 인간이란 의식을 부여하라.

        f 효과, 현장감을 살려라.

        g 대상을 잘 선택하여 상대에게 문제를 제시하라.

        h 녹음 구성의 신빙성을 높이기 위해서 녹음컷의 대상의 신분을 확인한다.

        i 녹음컷은 신문의 사진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진기자처럼 새로운 감각을 일으킬 수 있게 주의해야 한다.

        j 녹음컷의 음향상태는 깨끗할수록 좋다.

        (5) 녹음 구성의 테크닉

        a 스크립트는 뉴스보다 짧게 써야 한다.

        b 스크립트가 녹음Cut보다 많으면 안된다.

        c 녹음구성에 있어서 시간배당은 10분 프로그램일 경우 1 Cut이 절대로 1/5시간(2분) 이상 넘기면 안된다.

        d 책임질수 있는 방송을 위한 방대한 자료수집과 현장 확인 철저要

        (6) 녹음 구성의 분류



        a 일반 녹음구성(생활정보)

        b News녹음구성

        c 오락 녹음구성

        d 효과음만으로 제작되는 녹음구성

          * 현대 방송은 사회구조와 생활양식이 급변함에 따라 방송형식도 변하기 때문에 변측적인 녹음 구성이 개발되고 있다.

        (7) 구성상의 전반적인 흐름

        a 서    두 : 청취자로 하여금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P.D가 이끌어 나가고자 하는 소재와 주제를 인식하고 관심을 가질수 있도록 한다.

        b 중간부분 : 주제에대한 설명과 P.D가 뜻하는 방향으로 작품을 이끌어 나간다.

        c 결    론 : P.D의 주관이 나타나야 한다.

        (8) 녹음

        라디오 뉴스의 녹음은 신분의 사진과 같은 것이다. 녹음은 현장감을 주기때문에 청취자를 사건의 현장에 유도하는 셈이 되어 강력한 인상을 풍기게 된다.

        녹음은 소리만 전달하는 것으로 불충분하다. 녹음 뉴스의 목적은 소리에 따라 그[뉴스]의 가장 상징적인 핵심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녹음뉴스의 주안점은 뉴스성을 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뉴스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적응하는 시대감각이 절실히 요청된다. 마치 사진의 전문가처럼 새로운 센스로 녹음 뉴스의 영역을 개척해야 할것이다. 녹음을 취재할때 노인의 기침소리는 없는 것 보다 있는 것이 자연스러우며 어린이의 더듬거리는 말은 귀엽기만 하다고 하겠다. 기차소리나 자동차의 크락숀 소리, 파도소리등 배경의 음향을 어떻게 녹음기에 담을 것인가. 또,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항상 머리속에 새겨두어야 한다.

      2) 녹음 구성 제작의 실제

       (1) 기획 단계

        작품 제작의 첫 단계이므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이단계에서 프로그램의 성패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만큼 제작하는 이 단계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것이다.

        a 주제의 설정 ; item을 잡는 것이 가장 급선무이다. 어떤 작품에서든지 그 작품에서 말하려고 하는 핵심이 없다면 그것은 죽은 작품이다. 따라서 주제를 결정하는 것은 어떤 형태의 프로를 만들더라도 가장 선행되어야 할 성질의 것이다. 주제를 정할 때는 우선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으로 하며, 청취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것이어야 한다. 우리의 생활과 너무 동떨어져 있거나 깊은 학문의 세계를 다룬다면 폭 넓은 청취자의 지지를 얻지 못할 것이다. 시사성이 있고 보편 타당한 것이면 무난할 것이다.

        b 제작 방침의 결정 ; 일단 주제를정한 다음에는 그것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즉 이것은 정해진 주제를 어떤 각도에서 다룰 것인가와 밀접한 관계를 맻고 있다. 정해진 주제에 대해서 정면으로 파고 들어갈 것인가. 아니면 측면에 다룰 것인가. 또는 아예 역설적으로 풍자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제작방침의 결정은 어떤 주제를 다루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상의 여러가지 방법중에서 제작자의 판단에 따라 가장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택한다.

       (2)소재 모집 단계

       주제와 제작방침이 결정되면 주제를 중심으로한 각종 소재의 취재가 있어야 한다.

        a 소재의 선정 ; 녹음 구성에 있어서 소재라 하면 취재대상자의 음성과 현장음등의 녹음물과 주제와 관련있는 참고 서적이나 통계자료등을 말한다. 여기서 참고 서적이나 통계등은 폭넓게 구하는 것이 좋다. 그점이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신뢰도를 높여 주기 때문이다. 여러가지 산문이나 전문서적등 될수 있는 대로 많이 구해야 한다. 그리고 취재를 필요로 할 때는 먼저 취재 대상자를 알맞게 선정해야 한다. 제작자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의 권위자나 일반 학생, 시민 등 취재대상자 역시 청취자로 하여금 신뢰도를 높여주에 된다.  녹음물을 취재할때는

        첫째,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임해야 한다.

            질문자가 자신이 물어보는 문제의 핵심조차 알지 못하고 있다면 그 취재는  정작 필요로 하는 대답과는 동떨어진 것이 될것이다.

        둘째, 녹음물을 취할때는 가급적 감정적인 것으로 한다.

            해설자의 해설은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며 냉정해야 하지만, 녹음물은 약간 감정적인 것이 호소력이 강하다.

        셋째, 현장에서는 되도록 많은 소리를 담아 올것.

            이것 역시 청취자의 신뢰도와 관계가 있다.  마치 스튜디오에서 녹음한것과 같은 인상을 준다면 조작한것 같은 느낌을 주어 청취자의 신뢰를 얻지 못 할 것이다.

        b interview요령과 주의점 ; interview란 녹음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interview를 잘 하느냐 못히느냐에 따라 그 프로의 성패가 달려있다 해도 될 것이다.  다음에 몇가지 요령과 주의점을 적어 보았다.

        첫째, 방송에 익숙치 못한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얘기를 끌어내려면 먼저 상대방에게 친밀감을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주변의 화제로부터 분위기를 조성한 다음에 문제의 핵심에 관해 질문한다.

        셋째, 문제의 핵심으로 질문을 이끌어 가는데 성급해서는 안된다.

      쉬운 질문으로부터 어려운 질문으로 파고 들도록 질문의 순서에 유의한다.

        넷째, 결코 유도 질문에 의해서 사전에 계획된 답변을 얻어서는 안된다.

        다섯째, 상대방이 말하는 동안 관심있게 듣는입장을 취해야 하며 말이나


     태도로 공감을 표시한다.

        여섯째, 상대방의 말이나 태도에 초조한 빛이 보이면 인터뷰를 끝낸다.

          (3) 편집 단계

        녹음 구성의 창조적인 기법은 바로 이단계에서 발휘된다. 편집이란 취재에서 얻은 모집물들을 가지고 주제를 부각시킬 수 있는 하나의 통일성 있는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그 모집물들을 선택. 보완. 정리. 배열하는 과정이다.

        a 편집의 요령 ; 좋은 편집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많은 가위질을 필요로 한다.  다음의 사항들은 편집하는데 있어서 약간의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첫째, 모아진 녹음물들을 작품의 전개과정에 맞게 배열한다.

     둘째, 녹음물 중에 주제와 별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삭제한다.

     셋째, 필요없는 조사. 감탄사 따위도 삭제한다.(아, 에 따위)

     넷째, 되도록 녹음물 1 Cut의 시간은 40초를 경과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40초란 시간은 부족하다고 느낄지 모르나 둘째와 셋째 사항을 하고나면 정작 필요한 부분은 대부분 30초를 넘지 않을 것이다.

        b 녹음물 배열의 요령 ; 청취자의 마음에 거부감이 일지 않도록 하면서 제작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강력하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변화와 리듬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性別에 의한 변화 ; 녹음물 배열에 있어서 변화 요소로 남.녀의 음성 변화를 들수 있다.  예를 들어, 남성-남성-남성식의 배열보다는 남성-여성-남성의 배열이 더 좋다는 말이다.

     그러나, 기계적인 변화를 되풀이 하라는 것은 아니고 단지 작품의 분위기가 단순화 일변도로 흐르지 않도록 유의해서 배열하라는 것이다.

     둘째, 老幼에 의한 변화 ; 표현이나 음성에 있어서 노인과 어린이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노인들은 침착하고 안정된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반면, 어린이들의 음성은 경우에 따라서 강한 호소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점도 잘 이용하면 작품의 효과를 높이게 된다.

     셋째, 시간에 의한 변화 ; 여기서 시간이란 녹음물의 시간을 말한다.  음악에서 말하는 리듬감을 고려해서 배열한다.

     넷째, 語法에 의한 변화 ; 언어에는 음악처럼 강약이 있고 희노애락의 갖가지 묘정이 들어있다. 正說的인 말투가 있는가 하면 풍자적인 어법이 있고, 쾌    활한 말투에 반해 비통한 투가 있다. 또한 지역적으로는 여러가지 방언이있다. 이렇게 풍부한 어법의 차이도 배열의 변화에 십분 이용해야 한              다.

     (4) 원고 작성 단계

      방송국에서의 시간적인 제약은 거의 절대적이다. 내용이 좋고 훌륭한 녹음물이라도 정해진 시간 안에서 처리되지 않는다면 그 가치는 대단한 타격을 받게된다. 방송 시간에 맞게 원고를 작성 하되 해설의 길이는 녹음물의 반이상을 넘지 않도록 한다. 원고는 이성적으로 작성하고 녹음물의 내용과 다르거나 과장된 표현은 금물이다.

      다른 format의 프로그램 원고에 있어서도 그렇지만, 특히 녹음구성의 원고는 기.승.전.결이 뚜렷해야 한다. 이러한 논리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듣는 사람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

     (5) 제작 단계

     원고가 완성되면 제작에 들어간다.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는 narrator에게 충분한 연습을 시키고 적당한 bridge음악을 선곡하며 다시 한번 conti를 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반드시 假制作을 거쳐야 한다. 아무리 원고가 완벽하다 해도 방송을 듣는 것과 읽는 것과는 다르다. 따라서 가제작 후에 monitor를 통하여 원고는 이상이 없는가, conti는 알맞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만약 고칠 것이 있다면 수정을 한뒤 다시 제작하도 록 한다. 나중에도 이야


    기 하겠지만, 모든 프로그램은 제작후에 반드시 monitor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다음의 사항은 제작시의 일종의 기교에 속하는 것이지만 때에 따라서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니 알아 두도록 하자.


     (6) 기    타

     방송 제작에서 녹음구성은 종합 예술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녹음구성 프로그램을 제작하려면 P.D는 방송의 기초 이론을 알아야 하고 현 사회상, 청취자의 기호등을 간파하고 있어야 한다. 제작자의 구미에 맞아 자신이 도취되어 있더라도 실제 방송을 들어 줘야 하는 청취자의 기호에 맞지 않거나 현 사회 생활에 걸 맞지 않는다면 그 프로그램은 실패작인 것이다.

     우선 radio의 경우 오디오 매체의 특징을 정확히 간파하고 있어야하며 다루고자 하는 소재에 대한 충분한 자료 조사가 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초위에다 P.D가 의도하는 탑을 세워야 하는 것이다.

     이상의 것을 종합하여 녹음구성의 기초이론을 도표로 살펴보자.


      소재선택 ------------------------------------------------- 자료조사

      기    획    @ 주제 방향 설정   @ 소요시간 결정

                  @ 1차 기획안 마련(P.D, Rep)스크립트 줄거리

                  @ P.D,기자 설정 녹음의 종류, 대상, 컷수등을 결정


      취    재 ------------------------------------------------- 기획수정

                  @ 일선에서 취재

                  @ 녹음편집     @ 시간 측정

      편    집    @ 취재내용과 자료에 따라 스크립트 작성

                  @ 스크립트 완성후 데스크에 넘겨 프린트에 들어감(5-8분)


      원고작성

               ----------------------------------- 출연자선정,Q.sheet작성

      녹음제작    @ 브릿지나 음악이나 효과를 음악

                    과에 부탁한다.

               ------------------------------------------------- 재 편 집

      방    송    @ 파급효과를 조사해야 한다.

        * 주의 ; 청취자에게 신경을 써야 하며 제작자의 의도가 반드시 나타나야        하고 시작 후 2-3분 내에 청취자를 끌어들여야 한다.


      나. 종합 구성

        1) 종합 구성의 정의

        종합 구성이란 녹음 구성의 발달된 한 형태로써 녹음 구성에 D.J와 Drama의 요소를 복합시킨 것이다.  즉, 녹음 구성의 요소인 녹음물과 나레이션에 대사, 음악, 효과등을 효과적으로 종합 사용하여 통일성을 기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다.  종합 구성은 주제의 선택이나 제작 순서등은 녹음구성과 동일하며 녹음구성의 소재 모집 단계에 음악이나 Drama를 추가 시킨 것이다.

          (1) 종합 구성의 특징과 구성 요소

        a 방송 작품중에서 가장 짜임새 있고 예술적인 구성 작품이다.

        b 구성 요소는 원고(ment) + 녹음 Cut + 음악의 조화 + 기타...

                      Drama용 ment                          나레이터...

        c 방송에서 사용되는 모든 것을 동원하고 P.D의 의도에 따라서 드라마, 효과, Bridge 등을 임의로 선정할 수 있다.

          (2) 종합 구성의 제작 과정

        a 주제 선택

        b 자료 수집(취사 선택)

        c 자료의 대상 설정

        d 누락 자료를 보완

        e 선견 지명 투입

        f 반대 현상(역설)을 찾는다

        g 엮어 나갈 방법을 고안한다

        h 현장 녹음컷중 필요 선택하여 P.D의 주관을 삽입시키고 이에 따른 ment상의 책임은 P.D가 져야 한다

        i 편집

        j 녹음컷에서 중요한 부분에 효과음(현장음 등..)을 넣는다

        k 주제에


    맞는 나레이터를 선택하여 녹음에 들어간다

        l 필요에 따라 재편집을 한다

        m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2중, 3중 녹음을 해도 좋다

          (3) 제작상의 주의점

        종합 구성은 다양하고 재미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D.J, Drama, 녹음 구성등 모든 구성프로를 종합해서 최대의 효과를 기대하는 만큼 일관된 주제를 위해서 구성상의 소재의 주의점을 인식해야 한다.

        a 종합적인 구성이니 만큼 시간과 주제 선택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b 세부적인 부분에도 신경을 써서 유려한 흐름을 갖도록 해야 한다.

        c 오디오 매체의 특성을 알고 이에 따른 기초 자료 조사를 충분히 해야 한다.

        2) 종합 구성의 실제

        종합 구성은 녹음 구성의 소재 모집 단계에 음악이나 Drama를 추가시킨 것이다.

          (1) 종합 구성에서의 음악효과

        종합 구성에서의 음악효과는 D.J프로에서 처럼 전적으로 음악만을 위한 것도 아니고, 녹음 구성이 B.G나 B.M처럼 소극적인 역할도 아니다.  종합 구성에서의 음악은 녹음물 의 代用이며 녹음물의 효과로서 음악이 사용되는 것이다.  즉 story의 전개를 위해서 노래의 가사를 cutting해서 사용 가 하는 완전한 작품속의 한부분이다.  다만 청취장의 입장에서 단순한 녹음cut이나 나레이션을 들을 때보다 훨씬 재미있고 이해가 빨라질 수 있다.

          (2) 종합 구성에서의 드라마 효과

        드라마의 특성은 대사에 있다.  이 대사를 녹음 구성에 도입한다는 얘기는 즉 나레이션에 변화를 준다는 얘기와 같다.  주로 드라마로 처리되는 곳은, 극적 효과를 바라거나 나레이션으로는 설명이 장황하여 그 내


    용 전달이 어려운 부분등이다.

        드라마 효과는 청취자가 그 당시의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ocumentary프로그램 같은 곳에서는 반드시 써 볼만한 것이다.

          * 종합 구성은 앞으로 얼마든지 개발의 여지가 있는 format이므로 P.D의 창작력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명심해두자


    'BROADCA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매일볼 수 있는 신문  (0) 2015.06.20
    TERM 3  (0) 2009.03.23
    TERM 2  (0) 2009.03.23
Designed by Tistory.